전 세계 한류 팬 6천만 명…대한민국 인구 뛰어넘었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술문화

전 세계 한류 팬 6천만 명…대한민국 인구 뛰어넘었다

88개국 한류 동호회 1천600개 돌파…회원은 무려 68% 늘어
KF '2016 지구촌 한류 현황'…차세대 주자로 K뷰티·웹툰 부상

지난해 드라마 '태양의 후예'가 중국 등에서 돌풍을 일으키면서 전 세계 한류 팬이 6천만 명으로 껑충 뛰어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브랜드를 단 화장품이 인기를 끌면서 이른바 'K뷰티'(K-Beauty)가 차세대 한류 주자로 부상했고, 소설가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맨부커상을 받아 문학에서도 '코리아'의 위상을 높였다.


25일 공공외교 전문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펴낸 '2016 지구촌 한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09개국의 한류 현황을 조사한 결과 88개국에서 1천652개의 한류 동호회가 결성돼 5천939만 명의 회원이 활동 중이다.


이는 2015년보다 동호회는 10.6%, 회원은 68%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한류 팬의 수는 한국 인구 5천169만6천216명(2016년 12월 기준 행정자치부 통계)를 훌쩍 뒤어넘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14853188055014.jpg
지역별로 보면 중국에서 드라마 '태양의 후예'가 돌풍을 일으키면서 아시아·대양주의 한류 동호인이 4천10만여 명으로 53% 증가했다.


유럽에서는 영화 '아가씨' '부산행' 등이 국제 영화제에서 주목받으면서 1천만 명을 넘어섰고, 미국과 중남미에서는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 등이 K팝 인기를 견인하면서 900만 명으로 늘었다.

아프리카·중동의 한류 동호인은 19만 명으로 전년(17만 명)에 이어 성장세를 지속했다.

 

차세대 한류 주자로는 'K뷰티', 'K웹툰' 등이 부상했다.


한국 브랜드를 단 화장품이 수출에 날개를 달아 중국, 미국 등 외국인 소비자의 생활 속으로 파고들었고, 웹툰 '미생'은 일본에서 드라마로 재탄생해 한때 주춤했던 한류 인기에 불씨를 댕겼다.


특히 대중문화를 주 무대로 삼았던 한류가 지난해에는 소설 '채식주의자'의 맨부커상 수상에 힘입어 순수 문학으로 지평을 넓힌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지난해 한중 관계에 냉기류가 돌면서 중국 당국의 '한류 제재설'이 불거진 것이 자칫 한류 콘텐츠 수출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해야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보고서는 "중국의 '한한령'(限韓令)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모르지만, 이제는 정부 대 정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 됐다"면서 "중국 정부의 규제 완화, 한국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 등에 필요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시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14853188023575.jp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