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여행> 한탄강·임진강이 품은 천혜 비경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행

<지질여행> 한탄강·임진강이 품은 천혜 비경

14733107097090.jpg            재인폭포. 사진/임귀주 기자

(연천·포천=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재인폭포와 임진강 주상절리는 한탄강을 따라 흐르던 용암이 오랜 세월에 걸쳐 빚어낸 천혜의 걸작이다. 한탄강과 임진강 일대에는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비경들이 곳곳에 숨어 있다.


경기도 연천에는 약 19억 년 전 형성된 변성암부터 50만~12만 년 전에 용암이 흘러 형성된 현무암까지 30가지가 넘는 암석이 분포돼 있다. 그만큼 다양한 지질과 색다른 경관을 관찰할 수 있는 곳이다.


한탄·임진강의 지질명소 중 으뜸은 재인폭포다. 바닥이 투명한 높이 27m의 스카이워크 전망대에서 내려다보면 움푹하게 팬 절벽 가운데 쏟아져 내리는 폭포가 한눈에 들어온다. 하얗게 쏟아지는 폭포수가 약 18m 높이의 검은 현무암 주상절리 절벽과 대비되며 장관을 연출한다. 우리나라에 이런 풍광이 있을까 싶다.


재인폭포는 한탄강 본류에서 350m 정도 들어가 있는 곳에 있다.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절벽의 주상절리가 조금씩 침식되면서 조금씩 뒤로 물러나며 지금의 모습이 된 것이다. 한참 세월이 흐른 뒤에는 훨씬 더 계곡 안쪽에서 폭포가 떨어져 내릴 것이다.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폭포의 웅장함을 더욱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다. 절벽에 촘촘히 박힌 주상절리는 에메랄드빛 수면 위로 쏟아져 내릴 듯 위태로운 아름다움을 전한다.

◇ 베개 모양 용암과 좌상바위

재인폭포 인근 한탄강과 영평천이 만나는 지점에서는 주상절리 절벽 아래에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베개용암이 있다. 뜨거운 용암이 물을 만나 급격히 식으면서 굳어지고 밀려오는 용암이 다시 굳어진 표면을 통해 치약을 짜듯이 계속 뚫고 나오는데, 그 모양이 베개 모양이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한탄강 건너편 나무 덱 전망대에서 보면 베개 수백 개를 쌓아 놓은 듯한 용암이 시야에 들어온다. 전망대에 설치된 망원경을 이용하면 베개용암의 모양을 더 자세히 볼 수 있다.


다시 한탕강 하류로 1㎞를 이동하면 궁신교에서 좌상바위라 불리는 거대한 바위를 건너다볼 수 있다. 중생대 말인 백악기에 형성된 현무암으로 주변에는 동시대의 응회암층과 신생대 4기의 현무암이 있고, 하천 바닥에는 고생대 미산층도 함께 관찰된다. 이 바위는 궁평리 마을의 수호신으로 여겨지고 있다.  

14733107129635.jpg
            은대리 협곡. 사진/임귀주 기자

◇ 지질 종합선물세트 은대리 협곡

연천읍 북쪽 은대리 협곡은 고생대부터 신생대까지의 지질구조와 암석, 광물 등을 압축적으로 볼 수 있는 곳이다.


왕림교 아래 천변으로 내려서면 우선 현무암 주상절리 절벽 아래에 자갈이 쌓여 있는 퇴적층이 보인다. 연천 청산면 백의리에서 발견돼 ‘백의리층’이라 불리는 이 퇴적층은 옛 한탄강의 바닥이었던 곳으로, 용암이 흘러와 덮으면서 자갈 퇴적층 위로 현무암 절벽이 서 있는, 위태로워 보이는 지금의 모습이 됐다. 기왓장 모양의 판상절리와 습곡의 모습을 생생하게 볼 수 있는 바위, 녹색 암석에 박혀 있는 분홍색 광물 결정 등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왕림교에서는 은대리 협곡의 장관을 감상할 수 있다. 현무암 주상절리 절벽은 하천을 따라 이어지며 신비로운 풍광을 선사한다. 은대리 협곡 인근에는 다양한 주상절리를 볼 수 있는 차탄천 협곡도 있다.

14733107158276.jpg
            은대리 협곡. 사진/임귀주 기자

◇ 겸재의 화폭에 담긴 화적연과 교동 가마소

한탄강 상류 포천 지역에서는 화적연(禾積淵)과 교동 가마소를 꼭 봐야 한다. 강물이 휘도는 곳에 육식공룡이 누워있는 듯한 화강암괴가 자리하고 있는데, 짙푸른 숲과 초록빛 강물, 눈부시게 하얀 모래톱이 함께 어우러지며 극도의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화적연은 바위가 볏단을 쌓아 놓은 것 같다 해서 붙은 이름이다.


화적연은 예부터 금강산 가는 길목으로, 조선 후기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겸재 정선은 금강산 초행길에 이곳을 화폭에 담았으며, 많은 시인과 묵객이 지나며 글로 표현했다.


교동 가마소는 한탄강의 지천인 건지천 하류에 있는 조그만 계곡이다. 계곡을 이루는 바위들의 모양이 마치 솥을 엎어놓은 것 같이 보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주상절리의 틈을 따라 물에 의한 차별침식이 일어나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됐다고 한다.

14733107191086.jpg
            포천 화적연. 사진/임귀주 기자

◇ 여행 정보 = 우리나라에는 무등산권, 한탄·임진강, 청송 이외에 강원평화지역(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울릉도·독도, 부산, 제주도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뛰어난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돼 있다. 후보지로는 설악산, 단양, 진안·무주 등 9곳이 있다.


▲ 강원평화지역 =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내륙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가 완만해지고 동해안 쪽으로는 경사가 급하다. 이는 신생대 제3기에 동해의 해저 지각이 확장하면서 한반도가 수평으로 압력을 받아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지반이 융기된 탓이다. 강원평화지역은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을 포함한다.


철원의 지질명소로는 ‘한국의 나이아가라’로 불리는 직탕폭포, 용암이 한탄강을 따라 흘러가면서 계곡과 저지대를 메우며 편평한 용암대지를 형성한 철원용암대지, 고석정(孤石亭) 아래 한탄강 협곡에 15m 높이로 우뚝 선 화강암인 고석, 약 2㎞에 걸쳐 주상절리가 이어지는 대교천 현무암 협곡, 명성산 중턱의 높이 20m 삼단폭포인 삼부연 폭포 등이 있다.


화천에는 지촌천을 따라 7㎞ 남짓 구불구불 물길이 흐르는 곡운구곡(谷雲九曲), 만산동 계곡 정상부에 높이 약 100m, 폭 500m로 솟은 비래암이 있고, 양구에는 조선왕실의 백자 생산을 위한 백토 공급지였던 방산 지역, 차별침식으로 형성된 해안분지, 사태천이 감입곡류하며 생긴 폭호(瀑壺)인 두타연이 있다. 또 인제에는 해발 1천200m 일원에 발달한 산지습지로 1997년 우리나라 최초로 람사르협약에 등록된 대왕산 용늪, 내린천 포트홀이 있으며, 고성에는 남한에서 가장 넓은 석호인 화진포를 비롯해 송지호, 능파대가 있다.


▲ 제주도 = 2010년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됐다. 약 180만 년 전부터 역사시대까지 일어난 화산활동 때문에 형성됐다. 묽은 용암이 흘러 방패처럼 평탄한 모양을 한 순상화산 지형이다. 한라산과 단성화산 360개를 포함한 다양한 화산지형이 분포하고 현무암질과 조면암질이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지질명소로는 한라산, 만장굴, 천지연폭포, 중문-대포 주상절리대, 서귀포 패류화석산지, 용머리, 성산 일출봉, 산방산, 수월봉, 선흘 곶자왈이 있다.


▲ 부산 = 부산지질공원이 위치한 부산은 태백산맥의 남쪽 말단부에 해당하며, 해발 400~800m 구릉성 산지와 작은 반도, 섬, 만이 발달한 리아스식 해안이다. 남한에서 가장 큰 퇴적분지인 경상분지의 남동부에 포함되며, 경상분지는 백악기(1억3천600만~6천500만 년 전)에 형성됐다. 부산을 대표하는 해안 경관지인 태종대를 비롯해 이기대, 횡령산 서편의 구상반려암, 낙동강 하구, 다대포항 동쪽 해안의 두송반도, 암남동 일대 송도반도, 몰운대, 오륙도 등이 지질명소에 포함된다.


▲ 울릉도 ·독도 = 울릉도와 독도는 섬 전체가 화산작용으로 형성된 화산체이다. 평지는 거의 없고 지형 대부분이 절벽이며 현무암, 조면암, 응회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울릉도에는 봉래폭포, 거북바위, 국수바위, 버섯바위, 학포해안, 태하해안 산책로와 대풍감, 노인봉, 송곳봉, 용출소, 죽암 몽돌해안, 삼선암, 관음도, 죽도, 성인봉 원시림, 코끼리바위, 황토굴, 도동과 저동 해안산책로, 알봉이 있다. 또 독도에는 숫돌바위, 독립문바위, 삼형제굴바위, 천장굴 등의 지질명소가 있다.

14733107220919.jpg            포천 교동 가마소. 사진/임귀주 기자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