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 '14일 오전·15일 오후' 고속도로 혼잡 절정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추석연휴 '14일 오전·15일 오후' 고속도로 혼잡 절정

14731301180849.jpg
                  [연합뉴스 자료사진]

83.6%가 승용차로 이동…서울→부산 7시간 30분 예상
정부 특별교통대책 시행…대중교통 증편·우회도로 운영

(세종=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올 추석 연휴 귀성길은 14일 오전, 귀경길은 15일 오후에 고속도로 혼잡이 절정에 달할 전망이다.


귀성·귀경 평균 소요시간은 서울→부산 7시간 30분, 서울→광주 7시간, 부산→서울 6시간 40분, 광주→서울 5시간 10분 등 지난해보다 최대 10분가량 늘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9월 13일부터 18일까지 6일간을 추석 연휴 특별교통대책기간으로 정해 대중교통 수송력을 확대하고 우회도로를 운영하는 등 교통량 분산 대책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14731301811823.jpg

             추석 귀성·귀경시 권역간 통행수요

◇ 3천752만명 '대이동'…경부고속도로 차량 비율 최대


한국교통연구원이 수행한 교통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추석 특별교통대책 기간 중 전국 예상 이동인원은 총 3천752만명이다.


추석 당일인 15일에는 최대 791만명이 이동할 것으로 예측됐다.


총인원은 작년 추석(3천724만명)보다 0.8%(28만명) 많고 하루 인원은 평상시(363만명)보다 72.2%(262만명) 증가한 수준이다.


교통수단으로는 승용차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83.6%로 압도적이었고, 이어 버스(11.2%), 철도(4%), 항공(0.7%), 여객선(0.5%) 순으로 뒤를 이었다.


출발일별 귀성 인원 비율은 추석 전날인 14일 최대치인 51.8%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이 중 오전에 출발하는 인원은 38.8%, 오후 출발은 13%를 차지한다.


귀경 인원은 추석 당일인 15일과 다음날인 16일 각각 34%, 33%가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틀 모두 오후에 귀경하겠다는 답변이 각각 28.5%, 20.1%로 오전보다 많았다.


승용차로 고속도로를 이용할 때 주요 도시 간 평균 소요시간은 귀성·귀경방향 모두 작년 추석보다 최대 10분가량 증가할 전망이다.


귀성길 예상 소요시간은 서울→대전 4시간 35분, 서울→부산 7시간 30분, 서울→광주 7시간, 서서울→목포 8시간 50분, 서울→강릉 4시간 20분이다.


귀경길은 대전→서울 3시간 30분, 부산→서울 6시간 40분, 광주→서울 5시간 10분, 목포→서서울 6시간 15분, 강릉→서울이 3시간 35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됐다.


14731302502401.jpg
귀성 14일 오전, 귀경 15일 오후 피해야
(세종=연합뉴스) 안정원 기자 = 장영수 국토교통부 종합교통정책관이 6일 오전 국토교통부 기자실에서 올 추석 연휴 기간 중 귀성은 추석 하루 전인 14일 오전, 귀경은 추석 당일인 15일 오후에 고속도로 혼잡이 가장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히고 있다.

고속도로별 차량 비율은 경부선이 30.4%로 가장 많았고 서해안선(14.4%), 호남선(10.3%), 중부선(9.2%) 등이 뒤를 이었다.


14731303094647.jpg

              출발일과 시간대별 귀성·귀경객 비율(전망)

◇ 수송력 늘리고 임시 갓길차로 운영…시내버스·전철 연장운행


정부는 추석 특별교통대책기간 중 하루 평균 고속버스 1천728회, 철도 58회, 항공기 20편, 여객선 210회 등 수송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평상시 하루 255회 운행하던 KTX는 이 기간 운행횟수를 287회로 12.5% 늘린다.


아울러 교통량 분산을 위해 고속도로 교통정보 애플리케이션(앱), 국토부와 한국도로공사 인터넷 홈페이지, 포털사이트 등 다양한 매체에서 실시간 교통혼잡 상황과 주요 우회도로, 최적 출발 시기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정체가 예상되는 고속도로 63개 구간(936.6㎞)과 국도 10개 구간(150.4㎞)에 대해서는 우회도로를 지정, 도로전광판과 안내표지판을 통해 안내할 계획이다.


정부는 차량소통 향상을 위해 갓길차로(21개 구간·224㎞)와 승용차 임시 갓길차로(13개 구간·44.5㎞)를 운영한다.


고속도로 나들목(IC) 진출구간은 임시 감속차로(6개 노선 8개소)를 운영하고 경부선 한남대교 남단에서 신탄진까지 141㎞ 구간에는 버스전용차선제를 평소보다 4시간 연장한다.


고속도로 4개 노선 23개 영업소의 진입차로 수를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한편 영동선 여주휴게소(강릉방향) 등 8개소에는 램프 신호등 제어를 통해 진입 교통량을 조절하는 램프미터링을 시행한다.


무인비행선 4대, 경찰헬기 16대, 암행 순찰차 21대가 투입돼 버스전용차로·갓길 차로 위반 차량을 감시한다.


이 밖에 이용객 편의를 위해 고속도로 휴게소와 지·정체구간에 임시화장실 1천656칸이 설치되고 여성 화장실 비율이 높아진다.


휴게소 33개소 55개 코너는 자동차 무상점검서비스를 제공하며 졸음쉼터는 작년보다 25개소 많은 206개소를 운영한다.


서울 시내버스와 수도권 전철은 16∼17일 이틀 동안 다음날 오전 2시(도착지 기준)까지 연장 운행한다.


인천국제공항은 체크인 카운터 혼잡 완화를 목적으로 출국장을 조기 운영하며 공항청사 시설을 개방해 임시 주차장 약 6천300면을 추가로 확보했다.


14731304945407.jpg

                             대중교통수단별 수송력 증강 계획(일 평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