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美 전략무기 추가전개 한미 긴밀히 협의"(종합)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활

국방부 "美 전략무기 추가전개 한미 긴밀히 협의"(종합)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연합뉴스 자료사진>>

"북한군, 전방지역 병력 일부 증가…도발 임박한 동향은 없어"
"B-52 전개 美측 제안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달라…한미 공동합의"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이영재 기자 = 국방부는 11일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대응조치로 장거리 폭격기 B-52 이외 미군 전략자산(전략무기)을 한반도로 추가 전개하는 방안에 대해 미국측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미는 이번 북한의 4차 핵실험 관련해 공조체제를 긴밀하게 유지하고 있다"며 "(어제) B-52 이외 나머지 전략자산을 한반도에 추가 전개하는 문제는 한미가 긴밀하게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번 B-52 한반도 전개를 애쉬턴 카터 미 국방부 장관이 먼저 제안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는 "그것은 사실과 전혀 다르다"며 "한미가 공동으로 합의한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4차 핵실험 이후 북한군 동향에 대해서는 "전방 일부 지역에 병력이 일부 증가되고 있고, 그리고 그것을 통해 경계 및 감시를 강화하고 있는 상태가 변함이 없다"며 "그러나 현재 곧바로 도발할 수 있는 그런 임박한 동향은 있지 않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조건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말씀드리면 (8·25 합의에 규정된) 비정상 사태 위반이기 때문에 위반사항을 고치려면 그전으로 돌아가야 하지 않겠느냐"며 "그에 대한 평가는 정부 차원에서 다시 할 것"이라고 밝혔다.

14524788368698.jpg
미국이 한반도에 전개할 전략자산으로 꼽히는 핵잠수함(오른쪽부터), F-22 스텔스 전투기, B-52 장거리폭격기

그는 '대북 확성기 방송 이외 대북 전단살포 계획도 있느냐'는 질문에는 "확인된 바 없다"고 답변했다.


김 대변인은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중 국방부 간 핫라인이 가동되지 않고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중국 국방부는 다른 어떤 나라와도 전화통화를 하지 않고 있다"며 "우리도 일단 요청은 한 상태이고,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김시철 방위사업청 대변인은 우리 군의 무인정찰기 도입과 관련해 "작년 12월 말쯤 계약이 된 것"이라며 "올해 20대 정도가 군에 전력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