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강선 연장 철도사업’ 확정 가시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강선 연장 철도사업’ 확정 가시화

2조 3154억 원 투입, 비용대비편익 0.92로 대규모 프로젝트 타당성 확보

7-1. 용인특례시가 경강선 연장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보고를 마쳤다.jpeg

경강선 연장 철도사업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보고회


(국민문화신문) 윤정권 기자 =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21일 경기 광주시청 회의실에서 열린 ‘경강선 연장 철도사업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보고회’에서 이 사업이 비용대비편익(BC) 0.92로 사업성이 충분한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행사에는 방세환 광주시장, 황준기 용인특례시 제2부시장, 양 도시 관계자들, 그리고 용역사인 신명이엔씨 관계자가 참석했다. 경강선 연장은 경기광주역에서 경강선을 분기하여 용인의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226만평, 이동·남사읍)과 반도체 특화 신도시(69만평, 이동읍) 등으로 이어지는 처인구 이동·남사읍까지 총 37.97km를 복선 철도로 연결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총사업비는 2조 3154억원으로 예상되며, 비용대비편익(B/C) 분석 결과 0.92로 타당성이 확인됐다. 비용대비편익(B/C) 분석은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업 시행으로 발생하는 편익을 비용으로 나누어 산출된다. B/C 값이 1 이상이면 사업의 경제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0.92라는 값은 다소 부족하지만, 추가적인 정책적 고려나 지역 발전 효과 등을 감안할 때 사업 추진이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번 용역에서는 삼성전자가 반도체 생산라인 6기를 건설하는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과 1만 6000세대 규모의 이동 신도시 조성 등 초대형 프로젝트의 진행에 따른 교통 수요를 예측하고, 이를 결하기 위한 유기적인 철도망 연결 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이를 통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최적의 방안을 마련했다. 앞서 올 2월, 용인시와 광주시는 중간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국토교통부에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경강선 연장계획을 신규사업으로 반영 줄 것을 공식 건의했다.


용역 비용 1억7596만원은 용인시와 광주시가 6대 4 비율로 분담했다. 황준기 용인특례시 제2부시장은 “경강선 연장사업은 오래전부터 논의되었으나, 최근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과 이동 신도시 등의 요인으로 본격적으로 추진되게 되었다”며, “국가산단에 일할 IT 인재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로와 철도 등 인프라 조성이 필수적이므로, 경강선 연장사업이 정부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수립하기 위 2025년 4월까지 연구용역을 수행한 후, 공청회를 통 의견을 수렴하고 2025년 7월 중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