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생태계의 가치를 재조명해 독도 "미지의 여정"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독도 생태계의 가치를 재조명해 독도 "미지의 여정"

NBCONTENTSMYLOVEKBS_70000000399403_20230106_20230106104600___EDITOR_01.jpg

역사적, 지리적, 그리고 생태 환경적으로 가늠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우리의 섬, 독도. 사진 = KBS1TV

 

환경스페셜2>은 2023년 KBS 공사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신년기획 <독도, 미지의 여정>을 통해, 독도가 품은 신비로운 자연생태를 기록하고 아무도 가보지 않은 독도의 심해를 탐사함으로써 우리나라 생물 주권의 중요성을 집중 조명한다.

 

독도는 살아있는 생물 도감

봄을 맞은 독도 바다는 투명한 어항과 같다. 무성하게 자란 해조류들이 숲을 이룬 바다 안에 자리돔, 인상어, 망상어 등 연안에 정착해 살아가는 어류들은 독도바다가 지닌 생명의 풍요를 한 눈에 보여준다. 지난 20년간 독도 바다를 기록해 온 김동식 수중촬영 감독의 시선을 따라 들여다본 생태계는 질서와 변화를 품고 있다.

 

알이 부화할 때까지 자리를 지키는 수컷 자리돔, 집으로 삼을 소라껍데기를 찾아 경쟁을 벌이는 집게, 부화한 새끼를 멀리 날리고 생을 마감하는 암컷 문어까지. 치열한 경쟁과 생존을 위한 사투가 자연의 질서로 자리 잡은 독도 바다에서 새로운 발견은 늘 수중촬영 감독을 설레게 한다. 특히 수심 100미터 내외의 심해에 서식하는 ‘대왕문어’와의 미스터리한 만남은 수중촬영 감독에게 기록에 대한 욕심을 안겨준다.

 

매년 봄, 괭이갈매기 1만여 마리가 찾는 독도

독도는 철새들의 낙원이다. 광활한 동해를 건너야 하는 철새들에게 독도는 휴식처이자 피난처이기 때문이다. 매년 봄이 되면 1만여 마리의 괭이갈매기들이 번식을 위해 독도로 날아와 둥지를 튼다. 울음소리가 고양이 울음과 비슷하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 괭이갈매기. 제작진은 괭이갈매기들의 새끼가 부화하고, 성장하고, 첫 비행에 도전하는 과정을 카메라에 담아냈다. 과연 새끼 괭이갈매기는 무사히 날아오를 수 있을까.

 

침선 영상 단독 공개, 심해 탐사선 온누리호

심해는 수온이 낮고 빛이 들어오지 않으며 인간이 직접 들어갈 수 없는 수심대의 바다를 말한다. 최대 수심이 약 2,600m에 달하는 독도 바다는 해양학자들에게 아직 알려지지 않는 생물들을 발견할 수 있는 보물섬과 같다.

 

새로운 생물을 발견하는 것 자체가 우리나라의 생물 주권을 확립하는 중요한 행위이기 때문이다. <환경스페셜> 제작진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해양연구선 ‘온누리호’와 함께 독도 심해탐사에 나섰다. 먼저 특수 심해영상 카메라로 수심 100m대에 위치한 ‘침선’을 수색하는 연구진.

 

20여 년 전, 어초를 만들 계획으로 내려놓았다는 두 척의 침선은 지금껏 누구도 직접 확인한 적 없다. 또 다른 연구진은 무려 수심 2,600m 해저에 있는 독도의 해저 암석을 끌어 올린다.

   

독도 생태계의 가치를 재조명해보는 시간. 신년 기획 <독도, 미지의 여정>은 오늘 1월 7일 밤 10시 25분 KBS 1TV에서 방송된다.

NBCONTENTSMYLOVEKBS_70000000399403_20230106_20230106104600___EDITOR_03.jpg

역사적, 지리적, 그리고 생태 환경적으로 가늠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우리의 섬, 독도. 사진 = KBS1TV

NBCONTENTSMYLOVEKBS_70000000399403_20230106_20230106104600___EDITOR_02.jpg

역사적, 지리적, 그리고 생태 환경적으로 가늠할 수 없는 가치를 지닌 우리의 섬, 독도. 사진 = KBS1TV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