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모든 중앙버스차로 정류소에 무단횡단금지시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서울 모든 중앙버스차로 정류소에 무단횡단금지시설

1400억개 빅데이터 분석…아동·노인별 교통사고 대책 마련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서울시는 차량 속도와 유동인구 등 1400억개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아동·노인 등 교통약자별 교통사고 대책을 마련했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우선 연내 전체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335곳에 무단횡단 금지시설을 설치하고, 정류소 양끝에 방호 울타리를 보강한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 1곳당 무단횡단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0.81건으로 일반 가로변 정류소(0.15)에 비해 5.4배 더 많았기 때문이다.


무단횡단 다발 지점으로는 청량리역, 신설동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미아삼거리역 인근 중앙버스전용차로 건널목으로 나타났다. 청량리역의 경우 3년간 26건의 사고가 발생했고 이 중 30% 가 중상 이상을 당했다.


14264731534502.jpg
무단횡단방지시설, 서울시 제공

시는 상반기부터 교통사고가 잦은 50개 초등학교 부근에 과속방지턱 등 교통안전시설도 설치한다.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의 58%는 초등학교 반경 300m 이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갓 입학한 만 7세 어린이의 사고 비율이 13.2%로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등교 시간보다 방과 후인 오후 2∼7시에 사고가 1.5배 많이 발생했고 가을보다는 신학기인 봄, 그 중에서도 5월(1년 사고의 12.1%)에 사고가 가장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선 노인들이 자주 찾는 전통시장과 공원 등에 무단횡단 금지시설을 마련하고, 센서 감지로 무단횡단 시 경고음이 나오는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를 3∼4곳에 시범적으로 설치하기로 했다.


사고가 잦은 전통시장 인근 등을 노인보호구역 지정 요건에 포함하도록 중앙정부에 건의도 할 계획이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는 중상 이상을 당하는 경우가 65.4%로 타 연령층(42.3%)보다 1.5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또 음주운전 교통사고의 가해자 사망률이 51.6%로 일반 사고보다 1.8배 높고, 가해자는 30대·5년 이하 운전면허 경력자가 제일 많았다고 설명했다.


시는 경찰이 음주운전 단속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시가 도출한 도로유형별 음주운전 사고 다발지점을 공유할 예정이다.


14264731559919.jpg
서울시내 음주운전 다발 지역 지도, 서울시 제공

아울러 위험운전행동 중 급앞지르기, 급정지, 급감속이 교통사고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시는 설명했다.


위험운전행동과 교통사고가 잦은 지점은 신사역, 논현역, 강남역, 뱅뱅사거리, 회현사거리, 건대입구역 등으로 파악됐다. 


강진동 서울시 교통운영과장은 "교통사고와 관련된 각종 빅데이터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적인 대책을 수립했다"며 "앞으로 시설 개선과 더불어 교육, 홍보를 통해 교통사고를 줄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