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상연골판 손상 방치해둘 시, 퇴행성관절염 가속화 지름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활

반월상연골판 손상 방치해둘 시, 퇴행성관절염 가속화 지름길

활동이 많아지는 3월부터 환자 증가 돼 무릎 아프면 쪼그려앉기, 계단오르기 가급적 피해야

주석 2021-03-11 152152.jpg

반월상연골판 손상. 사진 제공: 연세스타병원


(국민문화신문) 정예원 기자= 무릎 관절은 몸에서 가장 큰 관절 중 하나이며, 항상 사용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사고 건수는 매해 증가한다. 그중 가장 흔하게 발생 되는 반월상연골판 손상의 대표적인 증상은 무릎이 뻐근하거나 펴지지 않는다.

 

등산 시 부주의한 사고로 인한 사고 건수는 매해 증가하고 있다. 소방청 통계에 의하면 2017년부터 2019년 사이 산악사고는 총 28,771건으로, 실족·추락이 24%(6,893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조난 23%(6,547건), 개인질환 10%(2,830건)순이었다.

 

발목인대 손상, 골절, 무릎 통증 등 다양한 부상이 도사리고 있다. 특히 발목인대 손상, 골절 등 극심한 통증이 바로 유발되는 질환은 바로 병원을 찾지만, 참을만하다고 판단되는 무릎 통증은 병원을 잘 찾지 않는다. 하지만 무릎 질환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을 찾아야 한다.


무릎 관절 사이에 있는 C자 형태의 관절.jpg

무릎 관절 사이에 있는 C자 형태의 관절. 사진 제공: 연세스타병원


무릎 관절은 대퇴골, 경골, 슬개골 3가지 뼈로 구성되어 있다. 슬개골은 관절 정면에 위치해 있어 관절을 보호하고, 반월상 연골은 쐐기 모양의 연골로서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서 ‘완충 장치’ 역할을 한다.

 

퇴행성관절염, 연골연화증과 치료 방법이 유사한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일상생활과 부상으로 인해 많이 발생한다. 반월상연골판 손상의 예로는 뻐근한 통증, 무릎이 구부려지거나 펴지지 않는 증상, 걷다가 힘이 빠지는 증상, 무릎에서 나는 소리, 무릎의 붓기 등이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의하면 2019년 반월상연골 손상 환자는 18만 여명으로, 2015년에 비해 11.6% 증가했다. 2018년 월별 환자 수 추이를 살펴보면 활동이 늘어나는 3월부터 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해서 휴가 시즌인 8월까지 유지됐다.

 

반월상 연골 파열은 종종 운동 중 무릎이 뒤틀려서 발생하게 되며, 고령 환자들에 있어서는 연골이 약해지고 얇아지게 되어 외상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퇴행성 반월상 연골 파열이라 한다. 만약 반월상 연골이 나이와 함께 약화 된 경우 단지 의자에서 일어나는 것만으로도 반월상 연골 파열을 일으킬 수 있다.

 

권오룡 연세스타병원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40대 이상은 퇴행성 변화가 원인이며, 10대부터 30대까지는 외부적 요인이 많다. 젊은 층은 운동 중에 무릎이 뒤틀린다거나, 교통사고, 낙상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40대 이상부터는 쪼그려 앉거나 제자리에서 일어나는 등의 작은 압력에 의해서도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일상에서도 주의를 해야 한다”고 전했다.

 

증상 및 병력 청취 후 무릎 관절의 관절 면을 따라 압통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압통을 호소하는 경우, 그 구획에 존재하는 반월상 연골이 파열을 의심할 수 있다.

 



주석 2021-03-11 152807.jpg

반월상연골판 자가진단법. 사진 제공: 연세스타병원


반월상연골의 손상은 맥머레이 검사와 애플리 압박검사로 자가진단할 수 있다. 맥머레이 검사는 무릎을 안쪽으로 돌리고 바깥쪽으로 돌림과 동시에 구부리고 펴보며 통증을 체크하는 검사다.

 

애플리 압박검사는 엎드려 누운 다음, 무릎을 90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발뒤꿈치를 아래로 누르면서 다리를 내·외로 회전시켜주면서 통증을 체크한다. 이 검사들을 통해 통증이 있다면 반월상연골판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손상된 반월상연골판의 종류.jpg

손상된 반월상연골판의 종류. 사진 제공: 연세스타병원

손상된 반월상연골판의 종류..jpg

손상된 반월상연골판의 종류. 사진 제공: 연세스타병원

 

반월상연골판은 어떻게 손상됐는지에 따라 파열이 여러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중앙에서 시작하여 주변부로 파열되는 형태인 방사형 파열, 양쪽 경계 전체가 완전히 떨어지면서 벌어지는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비스듬히 찢어지는 앵무새 주둥이형 파열, 수평으로 찢어지는 수평형 파열, 뒤쪽 뼈에 붙는 부위가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후방 골기시부 파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안쪽에서부터 파열이 진행되는 퇴행형 파열 등이 있다. 이 중 후방 골기시부 파열과 퇴행형 파열은 쪼그려 앉는 생활 습관 및 퇴행성 파열로 종종 발생된다.

가장자리 부위에만 혈관이 분포되어 있는 모습..jpg

가장자리 부위에만 혈관 분포되어 있는 모습. 사진 제공: 연세스타병원


반월상 연골 파열의 치료 방법으로는 파열의 모양, 크기,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반월상 연골의 바깥쪽 3분의 1은 적색 영역으로 혈액 공급이 원활한 지역이다. 종파열로써 이 지역에서 파열된 반월상 연골은 종종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봉합술로 치료할 수 있다.

 

반대로, 반월상 연골의 안쪽 3분이 2는 백색 영역으로 혈액 공급이 좋지 않아 이 부위에 파열된 반월상 연골은 스스로 치유가 불가능하다. 대부분의 복합 파열이 이 지역에 흔히 발생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파열 부위는 점차 커지기 때문에 봉합술, 부분 절제술, 줄기세포 재생술, 연골판 연부조직 고정 이식술과 같은 수술을 통해 악화를 막아야 한다.

 

만약, 반월상 연골의 파열이 작고 바깥쪽에 위치해 있으며, 환자의 증상이 지속되지 않는다면 수술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 운동과 연관된 손상인 경우 대부분 RICE 요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RICE란 안정(Rest), 냉찜질(Ice), 압박(Compression), 그리고 거상(Elevation)을 의미한다.

 

진통소염제를 복용하여 통증과 부종을 감소시킨 뒤 증상이 호전되면 5~10분 정도의 걷기 운동을 한다. 걷기를 해도 통증이 경미하다면 무릎을 피고 구부리는 동작을 해주는 기구인 CPM 등을 이용을 이용해서 근력 강화 운동, 체외충격파 치료, 프롤로주사 등으로 치료를 하여 증상을 더욱 호전시킬 수 있다.

 

봉합술.jpg

봉합술. 사진 제공: 연세스타병원

 

한편,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연세스타병원에서는 일률적인 수술법의 적용이 아닌 환자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수술법을 적용하고 있다. 연세스타병원의 봉합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최소침습적 방식으로 진행된다.

 

봉합 방식은 파열 형태에 따라서 관절 내에서 시작해서 관절 밖으로 매듭을 만드는 방법, 밖에서 유도관을 파열 부위를 통과 시켜 봉합사를 통과시킨 후 다시 밖으로 빼내어 관절막에 매듭을 만드는 방법, 그리고 모든 반월상연골판 봉합술을 관절 내에서 시행하는 방법을 선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부분 절제술과 줄기세포 재생술.jpg

부분 절제술과 줄기세포 재생술. 사진 제공: 연세스타병원

 

봉합술을 적용할 수 없는 파열은 부분 절제술과 줄기세포 재생술을 시행하여 봉합술과 마찬가지로 관절내시경으로 진행된다.

 

연부조직고정이식술.jpg

보편적인 연골판 이식술과 다른 연세스타병원만의 연부조직 고정 이식술. 사진 제공: 연세스타병원

 

또한, 관절에 홈을 뚫어 고정하는 보편적인 연골판 이식술과 다르게 뼈 손실 없이 원래의 위치에 연골판을 쉽게 위치시키면서 기존의 다리뼈 고정법과 동등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연부조직 고정 이식술을 시행하기 때문에 수술 후 안전,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무릎 관절은 몸에서 가장 큰 관절이면서 항상 사용하는 부위기 때문에 관리가 중요하다. 반월상연골판 자가 진단법을 통해 자신의 무릎을 체크해보고, 혹시 이상이 있다면 전문의를 찾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평소 무릎이 불편하다면 쪼그려 앉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을 가급적 피하고 아스팔트와 같은 딱딱한 길을 걷는 것도 자제해 반월상연골판 손상을 미리 예방하길 바란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